로 시작하는 네 글자의 단어: 1,84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413개 세 글자:1,383개 💗네 글자: 1,843개 다섯 글자:1,139개 여섯 글자 이상:2,070개 모든 글자:6,849개

  • 가나무 : (1)두릅나뭇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7월에 연한 녹색의 단성화가 잎 사이에서 피고 열매는 둥글고 검은색이며 5~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애순은 식용하고 뿌리와 껍질은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 가도감 : (1)고려 신종 2년(1199년)에, 수양장도감과 함께 설치되었던 임시 관아. 최충헌의 집권과 관계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 가료프 : (1)니콜라이 플라토노비치 오가료프, 제정 러시아의 시인(1813~1877). 1856년에 런던으로 망명하여 러시아 국내를 대상으로 하는 혁명적 잡지 ≪종(鐘)≫을 창간ㆍ편집하였다. 작품에 연작 <모놀로그>, 시집 ≪선술집≫, ≪농가(農家)≫ 따위가 있다.
  • 가리솥 : (1)아가리가 안쪽으로 조금 고부라진 작고 오목한 솥.
  • 가소립 : (1)자기가 도와서 출세시켜 준 사람.
  • 가작통 : (1)조선 시대에, 범죄자의 색출과 세금 징수ㆍ부역의 동원 따위를 위하여 다섯 민호(民戶)를 한 통씩 묶던 호적 제도. 성종 16년(1485)과 숙종 원년(1675)에 시행하였으며, 헌종 때에는 천주교를 탄압하는 데 이용하였다.
  • 가잡탕 : (1)온갖 못된 짓을 거침없이 하는 잡놈.
  • 가재비 : (1)굴비나 자반준치 따위를 다섯 마리씩 한 줄에 엮은 것.
  • 가전집 : (1)김택수(金澤洙)가 이선유(李善有)의 창본(唱本)을 채록하여 펴낸 판소리 사설집.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적벽가>, <수궁가>의 다섯 판소리에 대하여 창의 장단을 모두 붙이고 창자(唱者)들이 직접 정리한 자료로 가치가 크다. 1933년에 간행되었다.
  • 가타법 : (1)카르디올리핀을 생체 속에 주입하여 항체가 형성되면, 매독 감염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
  • 가피주 : (1)오갈피를 삶은 물로 담근 술. 흔히 허리가 아플 때 약으로 쓴다. (2)빛이 붉고 향기가 있는 중국 술의 하나.
  • 가피차 : (1)오가피나무의 잎과 뿌리의 껍질을 살짝 데쳐서 그늘에서 말려 두었다가 물을 붓고 끓인 차. 강장제(強壯劑)와 강정제(強精劑)로 쓰며, 중풍이나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다.
  • 각기둥 : (1)밑면이 오각형인 기둥체.
  • 각뿔대 : (1)오각뿔의 꼭짓점이 있는 부분을 그 밑면에 평행하는 평면으로 잘라서 없애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 각지붕 : (1)부풀린 십이이십면체의 일부분을 잘라 만든 다면체. 존슨(Johnson, N.) 다면체의 하나이다.
  • 각 철심 : (1)다섯 개의 갈래로 이루어진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모양을 한 철심.
  • 간지검 : (1)중국 춘추 시대의 오나라 사람인 간장이 만든 명검(名劍).
  • 갈잎병 : (1)잎이 주름이 잡히거나 오므라져서 울룩불룩하여지며, 하얘졌다가 어두운 갈색으로 변하여 떨어지는 병. 복사나무나 매화나무에 발생한다.
  • 갈피낭 : (1)‘오갈피나무’의 방언
  • 갈피술 : (1)오갈피를 삶은 물로 담근 술. 흔히 허리가 아플 때 약으로 쓴다.
  • 갈피차 : (1)오갈피나무의 잎과 뿌리의 껍질을 살짝 데쳐서 그늘에서 말려 두었다가 물을 붓고 끓인 차. 강장제(強壯劑)와 강정제(強精劑)로 쓰며, 중풍이나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다.
  • 감 만족 : (1)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이 모두 흡족함.
  • 감스레 : (1)언행이 괴벽하고 경망한 데가 있게.
  • 감알약 : (1)오징어 뼈, 구운 백반, 탄산수소 나트륨, 삽주, 감초, 황기, 미치광이풀 따위를 원료로 하여 만든 알약. 제산(制酸) 작용이 있어서 위 및 샘창자 궤양, 만성 위염을 치료하는 데 쓴다.
  • 감 여행 : (1)오감을 만족시킬 만큼 즐길 거리가 많은 여행.
  • 감하다 : (1)지나칠 정도라고 느낄 만큼 고맙다.
  • 감 행복 : (1)다섯 가지 감각을 모두 충족할 만큼 기쁨을 느낌.
  • 감 효과 : (1)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을 통해 실감을 자아내는 일.
  • 강단지 : (1)‘요강’의 방언
  • 개닉 면 : (1)유기농 방식으로 재배한 무명이나 목화솜 따위를 원료로 한 실. 또는 그 실로 짠 천.
  • 거 공법 : (1)전동기나 유압 모터의 동력으로 나사 형태의 천공기를 작동하여 땅에 구멍을 뚫고 말뚝을 투입하는 공법. 다른 공법에 비하여 진동이나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 거 드릴 : (1)지중 천공을 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끝에 오거 헤드가 달린 스크루. 나사형의 긴 축을 모터 따위를 이용하여 땅속에 돌려 박아 구멍을 뚫는 어스 오거의 부속 부품이다.
  • 거 보링 : (1)현장에서 오거를 가지고 지반 조사를 시행하는 방법. 보통 심도는 10미터까지 가능하지만, 사질토(沙質土) 의 경우 모래가 섞여 붕괴되므로 3~4미터 정도까지 가능하다.
  • 거부율 : (1)생체 인식 시스템의 정합 정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생체 인식 시스템에서 비등록자를 등록자로 잘못 거부하는 확률. 높은 성능을 유지하려면 오거부율보다 오수락률이 더 중요하다. 동일 시스템에서 두 기준은 서로 반대의 효과를 내는 수도 있으며, 비등록자를 수락 거부 하다 보면 등록자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
  • 거스타 : (1)미국 조지아주 동쪽에 있는 공업 도시. 목화 생산의 중심지로 면방직업이 발달하였다. (2)미국 동부 남쪽에 있는 도시. 메인주의 주도(州都)이다.
  • 거 시험 : (1)오거를 이용하여 흙에 구멍을 뚫어, 내부 압력이 없는 지하수층에 시행하는 투수(透水) 시험.
  • 거운서 : (1)중국 명나라 능치륭(凌稚隆)이 편찬한 책. 경(經)ㆍ사(史)ㆍ자(子)ㆍ집(集)ㆍ부(賦)의 다섯 부(部)로 나누고, 부마다 두 자(字)ㆍ석 자ㆍ넉 자의 숙자(熟字)를 운초(韻礎)에 따라 배열하여 일일이 그 출전을 밝혔다. 160권.
  • 거지서 : (1)다섯 수레에 실을 만한 책이란 뜻으로, 많은 장서(藏書)를 이르는 말.
  • 거 파일 : (1)오거로 흙 속에 구멍을 뚫고 반죽한 모르타르를 세게 밀어 넣은 다음 보강 철근을 추가한, 현장 치기 콘크리트 말뚝.
  • 거 헤드 : (1)어스 오거의 스크루 끝에 부착하는 지반 굴착용 커터. 모래용ㆍ자갈용ㆍ일반용이 있다.
  • 검 글자 : (1)고대 아일랜드어를 적는 데 쓰였던 음소 문자. 5세기경부터 7세기경까지 아일랜드섬과 그레이트브리튼 서부 지역에서 쓰였고 20자가 남아 있다. 일정한 방향이 없이 쓰였다.
  • 검난명 : (1)시비를 가리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이 설촉(薛燭)에게 다섯 자루의 보검을 감정하도록 하였는데, 모두 명검(名劍)이었으므로 좋음과 나쁨을 가리지 못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검 문자 : (1)고대 아일랜드어를 적는 데 쓰였던 음소 문자. 5세기경부터 7세기경까지 아일랜드섬과 그레이트브리튼 서부 지역에서 쓰였고 20자가 남아 있다. 일정한 방향이 없이 쓰였다.
  • 결하다 : (1)잘못 결정하거나 결재하다.
  • 경대전 : (1)중국 명나라의 호광(胡廣)이 황제의 명에 따라 편찬한 책. 오경과 그에 대한 고인(故人)의 주석을 모아 비판하였다. 117권.
  • 경박사 : (1)백제 때에, 오경(五經)에 능통한 학자에게 주던 칭호. 이 칭호를 받은 학자들이 일본에 건너가 고대 일본 문명의 개화에 공을 세웠다.
  • 경보율 : (1)태풍이나 공습 또는 기기 이상이나 고장 발생 따위의 위험을 잘못 알리는 비율.
  • 경소지 : (1)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이 쇠퇴하여 행하여지지 아니함. 오경(五經)으로 땅을 쓴다는 뜻이다.
  • 경순라 : (1)예전에, 새벽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인 오경에 돌던 순라.
  • 경이의 : (1)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허신이 지은 책. 오경에 관한 고금(古今)의 유설(遺說)이나 이의(異義)를 수록하고 그에 대한 설(說)의 시비를 판별하여 어느 설을 취할 것인가를 밝혔다. 10권.
  • 경정의 : (1)중국 당나라 태종의 명에 따라 공영달, 안사고 등이 오경(五經)을 주석(註釋)한 책.
  • 고랭이 : (1)‘오그랑이’의 방언
  • 고리다 : (1)‘오그리다’의 방언
  • 고불통 : (1)‘고집불통’의 방언
  • 고삼상 : (1)조선 시대에, 일 년에 두 차례 있는 고과(考課)를 다섯 번 치르는 가운데 세 번 상등(上等)을 받던 일. 사품 이상이면 일품계 승진하고 오품 이하이면 이품계 특진하였다.
  • 고셍이 : (1)어떤 물건의 본디 그대로. 또는 천천히 몸을 일으키거나 조심스럽게
  • 고초장 : (1)고추장에 참기름과 설탕을 치고 잘게 썬 쇠고기와 온갖 양념을 섞어서 볶은 반찬.
  • 고타이 : (1)몽골 제국의 제2대 황제(1185~1241). 묘호는 태종(太宗). 칭기즈 칸의 셋째 아들로 수도 카라코룸성(Karakorum城)을 건설하였으며 중국 금나라를 멸망시키고 러시아에서 중부 유럽까지 공략하였다. 재위 기간은 1229~1241년이다.
  • 고하다 : (1)이 년 반마다 벼슬아치의 근무 성적을 다섯 번 고과(考課)하다. (2)생각이 좁고 융통성이 없다. 제주 지역에서는 ‘오고다’로도 적는다.
  • 곡밥용 : (1)오곡밥을 짓는 데에 씀. 또는 그런 것.
  • 곡백과 : (1)온갖 곡식과 과실.
  • 곡불승 : (1)오곡이 익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흉년이 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곡수라 : (1)궁중에서, ‘오곡밥’을 이르던 말.
  • 곡음료 : (1)쌀, 콩. 호두, 보리, 율무 따위의 다섯 가지 곡식을 가공하여 만든 음료.
  • 곡잡밥 : (1)‘오곡밥’의 북한어.
  • 곡하다 : (1)담뿍하고 오붓하다.
  • 곤조곤 : (1)서로 매우 정답게 지내는 모양.
  • 골대다 : (1)좁은 그릇에서 적은 양의 물이나 찌개 따위가 자꾸 요란스럽게 끓어오르다. ⇒규범 표기는 ‘오글대다’이다. (2)‘오글대다’의 북한어. (3)작은 벌레나 짐승, 사람 따위가 한곳에 빽빽하게 많이 모여 자꾸 움직이다. ⇒규범 표기는 ‘오글대다’이다. (4)‘오글대다’의 북한어.
  • 골또골 : (1)작은 것들이 고르지 아니하게 동글거나 단단하게 잘 여문 모양.
  • 골레기 : (1)‘온전히’의 방언
  • 골보골 : (1)적은 양의 액체가 좁은 범위에서 매우 야단스럽게 끓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골씨다 : (1)‘오그리다’의 방언
  • 골오골 : (1)좁은 그릇에서 적은 양의 물이나 찌개 따위가 자꾸 요란스럽게 끓어오르는 소리. 또는 그 모양. ⇒규범 표기는 ‘오글오글’이다. (2)작은 벌레나 짐승, 사람 따위가 한곳에 빽빽하게 많이 모여 자꾸 움직이는 모양. ⇒규범 표기는 ‘오글오글’이다.
  • 골쪼골 : (1)여러 군데가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주름이 많이 지게 쪼그라진 모양. ⇒규범 표기는 ‘오글쪼글’이다.
  • 골차다 : (1)‘오달지다’의 방언
  • 골채이 : (1)‘올챙이’의 방언
  • 골챙이 : (1)‘올챙이’의 방언
  • 골호박 : (1)거죽이 오그라진 호박.
  • 곰마개 : (1)‘대님’의 방언
  • 곰매기 : (1)‘대님’의 방언
  • 곰방애 : (1)‘엉덩방아’의 방언
  • 곰방에 : (1)‘엉덩방아’의 방언
  • 곰재기 : (1)‘오금’의 방언
  • 곰재이 : (1)‘오금’의 방언
  • 곰쟁이 : (1)‘오금’의 방언
  • 곰태기 : (1)‘오금’의 방언
  • 곰패기 : (1)‘오금’의 방언
  • 곳오곳 : (1)‘발딱발딱’의 방언
  • 곳하다 : (1)‘오긋하다’의 방언
  • 곳다 : (1)‘오긋하다’의 옛말.
  • 공화국 : (1)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사망 후, 1980년 10월 27일에 발효된 새 헌법에 따라 세워진 우리나라의 다섯 번째 공화국. 12ㆍ12 군사 반란과 5ㆍ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을 계기로 집권한 신군부의 주도에 의하여 출범하였으며 대통령 간선제와 7년 단임제가 특징이다. 1981년 3월 3일 전두환 대통령이 취임한 후 1988년 2월까지 존속하였다.
  • 관산곡 : (1)고려 시대에 문충(文忠)이 지은 가요. 효자인 작자가 어머니가 늙어 감을 한탄하여 지은 노래로 본디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이제현이 한역한 것만 전한다.
  • 괴하다 : (1)물정에 어둡고 괴상하다.
  • 교십종 : (1)화엄종의 교판(敎判)으로, 불교의 교법을 오교와 십종으로 분류한 것. 오교는 소승교ㆍ대승시교(大乘始敎)ㆍ대승종교(大乘終敎)ㆍ돈교(頓敎)ㆍ원교(圓敎)이고, 10종은 아법구유종(我法俱有宗)ㆍ법유아무종(法有我無宗)ㆍ법무거래종(法無去來宗)ㆍ현통가실종(現通假實宗)ㆍ속망진실종(俗妄眞實宗)ㆍ제법단명종(諸法但名宗)ㆍ일체개공종(一切皆空宗)ㆍ진덕불공종(眞德不空宗)ㆍ상상구절종(相想俱絕宗)ㆍ원명구덕종(圓明具德宗)이다.
  • 교 양종 : (1)고려에서 조선 전기에 걸친 불교 교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교종의 열반종, 남산종, 화엄종, 법상종, 법성종과 선종의 천태종, 조계종을 이른다.
  • 구나무 : (1)대극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다. 6~7월에 노란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검은색의 삭과(蒴果)를 맺는다. 씨는 기름을 짜서 비누나 초 따위를 만들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 구대왕 : (1)오구물림에서, 바리공주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 구동물 : (1)오구동물문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구락쉬 : (1)‘잔꾀’의 방언
  • 구락지 : (1)‘오가리’의 방언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오로 끝나는 단어 (931개) : 솔페지오, 쇼오, 벤오, 하행 아르페지오, 래피드 아이오, 왕자오, 서오, 인디오 비디오, 항성 정오, 생오, 부동산 포트폴리오, 아니오, 지름종오, 치오, 요미오, 대스키피오, 그린 바이오, 불릿 포트폴리오, 디티오, 멍오, 포디 스튜디오, 프라 바르톨롬메오, 피델리오, 암 항원 일이오, 믹싱 스튜디오, 디지털 비디오, 브이오시티오, 디스팅치오, 피아이오, 자오 ...
오로 끝나는 단어는 93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오로 시작하는 네 글자 단어는 1,84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